[임산부 정보]임신부의 불면증(Insomnia in pregnancy)

2025-03-28

산부인과에 방문한 임신부들중에 잠을 한숨도 못 잤다고 하는 임신부들이 꽤 된다. 

이분들중에는 임신 자체로 인한 불면증일 수도 있고 심한 경우는 약의 도움을 받아야 하는 분들도 있어 보인다.

 

 

임신부의 66~94%가 임신 중 수면 장애를 겪고 있으며 심한 경우 불면증에 해당한다.

불면증(Insomnia)은 다음 중 하나 이상으로 정의된다.

  • 수면을 시작하거나 유지하는 데 어려움
  • 너무 일찍 잠에서 깨거나 또는 다시 잠들지 못한 수면에 대한 불만
  • 불충분한 수면 (비임신부의 정상적 수면 시간: 밤에 7~9시간이지만, 임신부의 경우 9~10시간정도도 더 많은 휴식을 위해 정상적임)


불면증을 겪을 가능성은 임신이 진행됨에 따라 증가한다. 약 4명 중 1명의 여성(25%)이 임신 초기(임신 14주이내)에 불면증을 겪습니다. 최대 80%의 여성이 세 번째 삼분기(임신 28주~출산) 말까지 불면증 증상을 보고합니다.


임신부에서 수면문제, 불면증은 우울증 증상, 분만 중 통증 증가, 제왕 절개술 증가, 조산, 저체중 출산과 같은 부정적인 산모 및 태아 결과와 관련이 있을 수 있음. 

또한, 불면증은 특히 신경근 질환, 정신 건강 장애, 천식 및 물질 사용 장애와 같은 합병증이 더 많음.

따라서, 임신 중 수면장애나 불면증은 불가피 할 수도 있지만, 이를 잘 이겨내는 것이 임신부 및 태아건강에도 매우 중요함.

먼저, 임신 중 수면장애의 원인으로 우울증상이나 야간의 식사가 관련된다는 보고도 있지만 조금더 일반적인 원인에 관하여 알아보고, 관리 또는 치료 관련하여 비약물적 관리방법에 관하여 알아보고, 임신 중 약물 사용에 대한 불안감이 있지만 임신부에게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졸피뎀(Zolpidem) 치료와 관련하여 임신부 및 태아에서의 안전성 및 위험성에 관하여 알아보면 도움이 되겠다.


임신부의 수면장애 원인

호르몬 변화: 프로게스테론 증가로 인해 졸림이 생기기도 하고, 수면 패턴이 불규칙해지기도 함.


빈뇨: 자궁이 방광을 압박하면서 자주 소변을 보게 됨.

역류성 식도염: 위산 역류로 인해 자는 도중 깨어날 수 있음.

신체적 불편함: 복부 팽창, 요통, 다리 저림 등으로 편한 자세를 찾기 어려움.

태동: 아기의 움직임으로 인해 잠에서 깰 수 있음.

불안 및 스트레스: 출산이나 육아에 대한 걱정으로 불면이 생기기도 함.


임신부 수면장애 유형

불면증: 잠들기 어렵거나 자주 깸.

하지불안증후군(Restless legs syndrome, RLS): 다리에 불편감이 있어 움직이고 싶은 충동.

수면무호흡증: 특히 체중 증가나 비염 등이 있는 경우 코골이나 일시적 호흡 중단.

주간 졸림: 야간 수면 질이 떨어져 낮에 졸림.


임신부에서 수면장애 관리 및 개선 방법

수면 환경 개선: 방 온도 조절, 어두운 조명, 소음 차단 등.

왼쪽으로 눕기: 혈액 순환에 도움이 되고 불편감 감소.

가벼운 운동: 요가나 걷기 등으로 몸의 긴장을 완화.

저녁 식사 조절: 소화 잘 되는 음식을 먹고, 자기 2~3시간 전엔 음식 섭취 피하기.

수면 루틴 만들기: 매일 같은 시간에 자고 일어나기.

의료적 상담: 수면무호흡증이나 하지불안증후군이 의심될 경우 진료 필요.


임신부에서 수면장애 약물치료 

임신부에서 수면장애의 약물치료는 태아에 대한 안전성을 최우선으로 고려해야 하므로 매우 신중하게 접근해야 한다.

천연호르몬인 melatonin, 항히스타민제인 Doxylamine, Diphenhydramine, 벤조디아제핀계 약물

Lorazepam, 비벤조디아제핀계 Zolpidem (스틸녹스), 그리고 우울증이 동반된 경우 Amitriptyline, Mirtazapine 모두 저마다의 약간의 위험을 가지고 있지만 비교적 안전하게 임신부의 상태에 따라서 임신 중 사용해 볼 수 있는 약물치료라 할 수 있다.

임신부들 가장 많이 사용하고 있는 Zolpidem(스틸녹스)의 임신부 및 태아의 안전성에 관하여

북미 MotherToBaby의 자료를 바탕으로 살펴 보자.


Zolpidem (졸피뎀, 스틸녹스)

이 시트는 임신 중과 모유 수유 중 졸피뎀 노출에 대한 내용입니다. 이 정보는 의료 서비스 제공자의 치료 및 조언을 대체해서는 안 됩니다.


졸피뎀이란?

졸피뎀은 진정제-최면제(차분함과 수면을 유발)로 불면증(잠들지 못하거나 잠을 유지할 수 없음)을 치료하는 데 사용됨. 졸피뎀은 최면 벤조디아제핀 수용체 작용제 또는 HBRA(때로는 z-최면제 또는 z-약물이라고 함)라는 약물 그룹에 속함. HBRA는 벤조디아제핀이 아니지만 비슷한 방식으로 작용합니다

졸피뎀을 복용하면, 임신하기 더 어려워질 수 있나요?

졸피뎀이 임신을 어렵게 만드는지 여부는 알려져 있지 않음.

 

졸피뎀을 복용하면 유산 위험이 커지나요?

유산은 15%정도로 흔하며, 다양한 이유로 모든 임신에서 발생할 수 있음. 졸피뎀이 유산 가능성을 높이는지 알아보는 연구는 수행되지 않았음.


졸피뎀을 복용하면 선천성기형의 위험이 증가하나요?

모든 임신은 선천성기형 생길 확률이 3-5%임. 이를 배경 위험(background risk)라고 함. 여러 연구에 따르면 임신 중에 졸피뎀을 사용해도 선천성기형 발생 가능성이 배경 위험 이상으로 증가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남.


임신 중 졸피뎀을 복용하면 임신과 관련된 다른 문제의 발생 가능성이 높아지나요?

여러 연구에 따르면 임신 중에 졸피뎀을 사용해도 조산(37주 전에 출산)이나 저체중 출산(출생 시 체중이 2500g 미만)과 같은 다른 임신 관련 문제의 가능성이 크게 증가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남. 다른 연구에 따르면 임신 중에 졸피뎀이나 다른 HBRA를 복용한 여성은 임신 중에 이러한 약물을 복용하지 않은 여성에 비해 조산하거나 아기가 작을 가능성이 약간 더 높았음. 이러한 연구에서는 다른 약물 사용, 흡연, 알코올 또는 약물 사용, 약물을 사용하여 치료한 기저 질환 및 기타 요인과 같이 조산 및 예상보다 작게 태어난 아기의 가능성을 높일 수 있는 다른 요인을 충분히 설명할 수 없었음.


임신 내내 졸피뎀을 복용해야 한다면, 출산 후 아기에게 금단 증상이 나타날까요?

벤조디아제핀과 같은 일부 진정제는 출산 직전에 사용하면 신생아에게 금단 증상을 일으킬 수 있음. 신생아의 이러한 증상에는 호흡 곤란, 근육 약화, 과민성, 울음, 수면 장애, 떨림 및 불안감이 포함될 수 있음. 출산 직전에 졸피뎀을 복용하면 신생아에게 이러한 증상이 나타날 수 있는지는 알려져 있지 않음. 의사들에게 졸피뎀을 복용하고 있다는 사실을 알리는 것이 중요하며, 이를 통해 아기가 이러한 증상을 모니터링하고 필요한 경우 적절한 치료를 받을 수 있음.

임신 중에 졸피뎀을 복용하면 아이가 나중에 행동이상이나 학습에 영향을 미치나요?

한 연구에서는 임신 후반에 졸피뎀이나 다른 HBRA 약물을 사용했을 때 5세 아동의 총체적 운동 능력(달리기, 점프와 같은 큰 신체 움직임)과 의사소통 능력에 미미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남.  그러나 이러한 효과는 불면증이 아닌 우울증이나 불안 증상을 치료하는 데 약물을 사용했을 때만 나타남. 어머니의 기저 우울증이나 불안과 관련된 요인이 이러한 효과와 관련될 수 있었음.


졸피뎀을 복용하는 동안 모유 수유:

졸피뎀은 소량으로 모유에 들어감. 한 소규모 연구와 사례 보고서에 따르면 출산 후 며칠 동안 졸피뎀을 복용한 6명의 여성 중 약을 복용한 지 3시간 후에 모유에서 졸피뎀이 거의 발견되지 않음. 또한, 아기에게서도 문제가 없었음. 혹시 아기에게 졸피뎀으로 인한 진정(매우 졸림), 체중 증가 부족, 근육 긴장 저하(늘어짐), 호흡 둔화와 같은 증상이 있다고 의심되는 경우 즉시 아이를 돌보는 의사에게 연락해야 함.


남성이 졸피뎀을 복용하면 생식 능력(여성이 임신할 수 있는 능력)에 영향을 미치거나 선천성 기혈 발생 가능성이 높아지나요?

졸피뎀이 남성의 생식력에 영향을 미치거나 선천성 기형 발생을 증가시킬 수 있는지에 대한 연구는 이루어지지 않았음. 하지만, 일반적으로 아버지나 정자 기증자가 노출되는 경우 임신 위험을 증가시킬 가능성이 낮음.


참고문헌

Reichner CA. Insomnia and sleep deficiency in pregnancy. Obstet Med. 2015 Dec;8(4):168-71.


https://my.clevelandclinic.org/health/diseases/pregnancy-insomnia


Anthony M Kendle, Jason L Salemi, Chandra L Jackson, Daniel J Buysse, Judette M Louis, Insomnia during pregnancy and severe maternal morbidity in the united states: nationally representative data from 2006 to 2017, Sleep, Volume 45, Issue 10, October 2022, zsac175, https://doi.org/10.1093/sleep/zsac175


Wołyńczyk-Gmaj D, Różańska-Walędziak A, Ziemka S, Ufnal M, Brzezicka A, Gmaj B, Januszko P, Fudalej S, Czajkowski K, Wojnar M. Insomnia in Pregnancy Is Associated With Depressive Symptoms and Eating at Night. J Clin Sleep Med. 2017 Oct 15;13(10):1171-1176.


https://mothertobaby.org/fact-sheets/paternal-exposures-pregnancy/


(사) 임산부약물정보센터 센터장 한정열교수

                                                        

사단법인 임산부약물정보센터



사단법인 임산부약물정보센터 (대표자: 한정열)
사업자등록번호 794-82-00187
서울 중구 퇴계로50길 12-1 2층| 메일주소 master@mothersafe.or.kr
Copyright© 2021 Korean Mothersafe Professional Counseling Center.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