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난 일요일인 2021.11.14 노보텔 앰베서드(동대문구)에서 아침 9시부터 오후 3시 30분까지 위 주제로 심포지엄을 On-Line Live로 진행하였다.
심포지엄 내용은 크게 4개의 세션으로 나뉘었다.
첫번째는 Issues in Maternal-Fetal Medicine으로 Brain sono에 관하여 대구카톨릭의대 홍성연교수님께서 ISUOG 가이드라인에 따라 설명을 잘해주셨다. 사회자로 나선 나의 경우도 최근에 임신 초기 이소트레티노인에 노출되신분이 Dandy-Walker Variant가 의심되는 증례가 있어서 꽤 흥미있게 들었다. 그리고 이어서 인제의대 상계백병원의 서용수교수님의 임신부의 갑상선질환진단 및 관리, 그리고 서울의료원의 이현주과장님의 Vitamin D 결핍시 조기양수파막 등의 불량한 임신결과에 대한 발표가 있었다. 두번째세션은 국립중앙의료원의 윤정원과장님의 Medical abortion의 safety and risk에관하여 강의해 주셨다. Medical abortion을 위한 미페프리스톤-미소프로스톨 콤보약이 2022년 현대약품을 통해서 국내 유입되면 더 많은 이슈가 있을 것 같고 대비하여 도움이 되는 강의였다. 그리고 일산백병원의 고재환교수님의 산부인과에서 수혈대체에 관련하여 요즘 헌혈이 줄고 또한 여러이유로 수혈을 원치않는 환자가 많아 매우 중요한 이슈이고 도움이 되었다. 이와 관련하여서는 2021.11.20(토) 대한수혈대체학회(KRSTA)의 온라인 학술대회가 예정되어 있다.
또한 가임여성에서의 PCO 증상별 치료에 관한 김영아교수님 강의와 산부인과 암환자에서의 fertility saveness에 관한 전경철교수님강의도 요즘 만혼 등으로 인해 중요 이슈가 되었다. 그리고 국립중앙의료원의 주성홍부장님과 김일동과장님께서 국립중앙의료원에서의 COVID19에 감염된 임신부의 경과 및 백신에 관하여 Reality와 심각성이 느껴지고 현장감이 있는 강의를 해주셨다. 특히 델타변이는 증상이 나타나기 시작할 때 이미 70%이상 전파된다는 사실이 충격적으로 다가왔다. 그리고 백신의 임신부의 안전성에관한 이슈로 일부 연구에서 유산이 증가한다는 내용 관련하여서는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하고 이를 피하기 위해서 유산의 위험이 적은 임신 9주이후에 예방접종하는 것도 좋은 선택이 될 수 있다.
그리고 마지막세션으로 Issues in MotherSafe Center에서는 강남차병원의 최준식교수의 임신부에서의 Herbal Medicine이 사산율이나 기형을 증가시킬 수 있어서 주의가 필요하다는 내용과 울산맘스여성병원 윤정섭원장님의 임신초기 다이어트약 노출에 따른 위험성과 마더세이프에서의 연구결과 발표가 있었다. 그리고 대전미즈여성병원의 홍달수원장님의 여드름약 이소트레티노인의 임신부 노출을 최소화하기위한 국내 RMP소개와 non-compliance의 문제 그리고 기형발생위험률이 최근에는 줄어들었다는 발표를 하였다. 그리고 부산화영일신기독병원의 이소영과장님께서 Medications and Mother’s Milk에 관하여 단유약으로서 carbergoline 소개와 적합성에 관하여 그리고 상담들어온 테스토스테론과 에스트로겐은 단유약으로서 색전증 부작용등으로 부적합함을 소개해주셨다.
그리고 마지막 연제로 서울시 남녀임신준비지원사업을 바탕으로 한 preconception care에서는 이 사업의 Background 개념으로 Barker의 이론인 FOAD(Fetal Origin of Adult disease)와 국내의 만혼 및 저출산 환경에 관한 발표와 조산과 임산부 사망의 주요원인이 우울증의 고위험여성과 관련된 위험요인을 분석하였고, 우울증을 예방할 수 있는 주요요인 중의 하나는 주당 운동의 횟수로 한차례도 하지 않은 경우 23%, 1차례는 50%, 2차례는 60%예방하는 것으로 나타나서 향후 이 사업에서 정책적인 관심과 action이 있어야 할 것 같다. 이번 심포지엄은 약 700명이 등록하였지만, 당일 날씨가 전형적인 가을날씨로 좋아서 인지 약 50%를 조금 넘긴 370명정도가 강의 끝까지 참여하였다. 이 분들에게 많은 감사를 드리며 내년에는 조금 더 많이 참석할 수 있도록 방안을 찾아보고 또한, 진행에 있어서도 연수평점 때문에 질의 응답시간이 원활하지 않았다. 이 또한 연자의 강의 시간을 15분으로 제한해서 조정할 계획이다.
이번 심포지엄을 위해서 애써주신 사단법인 임산약물정보센터 임원들과 국립중앙의료원 및 인제의대 일산백병원 산부인과 스태프들 그리고 강의에 참여해주신 모든 연자분들에게 심심한 감사를 드립니다.
2021. 11. 18
한국마더세이프전문상담센터장/인제의대 일산백병원 산부인과 교수 한정열
지난 일요일인 2021.11.14 노보텔 앰베서드(동대문구)에서 아침 9시부터 오후 3시 30분까지 위 주제로 심포지엄을 On-Line Live로 진행하였다.
심포지엄 내용은 크게 4개의 세션으로 나뉘었다.
첫번째는 Issues in Maternal-Fetal Medicine으로 Brain sono에 관하여 대구카톨릭의대 홍성연교수님께서 ISUOG 가이드라인에 따라 설명을 잘해주셨다. 사회자로 나선 나의 경우도 최근에 임신 초기 이소트레티노인에 노출되신분이 Dandy-Walker Variant가 의심되는 증례가 있어서 꽤 흥미있게 들었다. 그리고 이어서 인제의대 상계백병원의 서용수교수님의 임신부의 갑상선질환진단 및 관리, 그리고 서울의료원의 이현주과장님의 Vitamin D 결핍시 조기양수파막 등의 불량한 임신결과에 대한 발표가 있었다. 두번째세션은 국립중앙의료원의 윤정원과장님의 Medical abortion의 safety and risk에관하여 강의해 주셨다. Medical abortion을 위한 미페프리스톤-미소프로스톨 콤보약이 2022년 현대약품을 통해서 국내 유입되면 더 많은 이슈가 있을 것 같고 대비하여 도움이 되는 강의였다. 그리고 일산백병원의 고재환교수님의 산부인과에서 수혈대체에 관련하여 요즘 헌혈이 줄고 또한 여러이유로 수혈을 원치않는 환자가 많아 매우 중요한 이슈이고 도움이 되었다. 이와 관련하여서는 2021.11.20(토) 대한수혈대체학회(KRSTA)의 온라인 학술대회가 예정되어 있다.
또한 가임여성에서의 PCO 증상별 치료에 관한 김영아교수님 강의와 산부인과 암환자에서의 fertility saveness에 관한 전경철교수님강의도 요즘 만혼 등으로 인해 중요 이슈가 되었다. 그리고 국립중앙의료원의 주성홍부장님과 김일동과장님께서 국립중앙의료원에서의 COVID19에 감염된 임신부의 경과 및 백신에 관하여 Reality와 심각성이 느껴지고 현장감이 있는 강의를 해주셨다. 특히 델타변이는 증상이 나타나기 시작할 때 이미 70%이상 전파된다는 사실이 충격적으로 다가왔다. 그리고 백신의 임신부의 안전성에관한 이슈로 일부 연구에서 유산이 증가한다는 내용 관련하여서는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하고 이를 피하기 위해서 유산의 위험이 적은 임신 9주이후에 예방접종하는 것도 좋은 선택이 될 수 있다.
그리고 마지막세션으로 Issues in MotherSafe Center에서는 강남차병원의 최준식교수의 임신부에서의 Herbal Medicine이 사산율이나 기형을 증가시킬 수 있어서 주의가 필요하다는 내용과 울산맘스여성병원 윤정섭원장님의 임신초기 다이어트약 노출에 따른 위험성과 마더세이프에서의 연구결과 발표가 있었다. 그리고 대전미즈여성병원의 홍달수원장님의 여드름약 이소트레티노인의 임신부 노출을 최소화하기위한 국내 RMP소개와 non-compliance의 문제 그리고 기형발생위험률이 최근에는 줄어들었다는 발표를 하였다. 그리고 부산화영일신기독병원의 이소영과장님께서 Medications and Mother’s Milk에 관하여 단유약으로서 carbergoline 소개와 적합성에 관하여 그리고 상담들어온 테스토스테론과 에스트로겐은 단유약으로서 색전증 부작용등으로 부적합함을 소개해주셨다.
그리고 마지막 연제로 서울시 남녀임신준비지원사업을 바탕으로 한 preconception care에서는 이 사업의 Background 개념으로 Barker의 이론인 FOAD(Fetal Origin of Adult disease)와 국내의 만혼 및 저출산 환경에 관한 발표와 조산과 임산부 사망의 주요원인이 우울증의 고위험여성과 관련된 위험요인을 분석하였고, 우울증을 예방할 수 있는 주요요인 중의 하나는 주당 운동의 횟수로 한차례도 하지 않은 경우 23%, 1차례는 50%, 2차례는 60%예방하는 것으로 나타나서 향후 이 사업에서 정책적인 관심과 action이 있어야 할 것 같다. 이번 심포지엄은 약 700명이 등록하였지만, 당일 날씨가 전형적인 가을날씨로 좋아서 인지 약 50%를 조금 넘긴 370명정도가 강의 끝까지 참여하였다. 이 분들에게 많은 감사를 드리며 내년에는 조금 더 많이 참석할 수 있도록 방안을 찾아보고 또한, 진행에 있어서도 연수평점 때문에 질의 응답시간이 원활하지 않았다. 이 또한 연자의 강의 시간을 15분으로 제한해서 조정할 계획이다.
이번 심포지엄을 위해서 애써주신 사단법인 임산약물정보센터 임원들과 국립중앙의료원 및 인제의대 일산백병원 산부인과 스태프들 그리고 강의에 참여해주신 모든 연자분들에게 심심한 감사를 드립니다.
2021. 11. 18
한국마더세이프전문상담센터장/인제의대 일산백병원 산부인과 교수 한정열